[스크랩] “오, 영국 청교도들의 영향력 아래 생명력이 뻗어나가게 하소서!”/엔드류 톰슨, ‘존 오웬’ “오, 영국 청교도들의 영향력 아래 생명력이 뻗어나가게 하소서!”/엔드류 톰슨, ‘존 오웬’ ‘베이츠의 영향력과 기품이 오웬의 거대한 사상과 결합되었다면 우리는 완전한 신학 저술가를 만날 수 있었을 것이다’라는 본의 느낌은 적절했다. 존 오웬은 청교도들 중 어떤 사람과도 견.. 성경적 신앙 2018.10.11
[스크랩] 1857-1858년의 뉴욕 대부흥은 청교도 신학이 참된 부흥을 가져옴을 확인시켰다/ 김홍만 1857-1858년의 뉴욕 대부흥은 청교도 신학이 참된 부흥을 가져옴을 확인시켰다/ 김홍만 제2차 영적 대각성 이후 미 장로교는 또 하나의 대부흥을 경험하였다. 이 부흥은 구학파로 하여금 청교도 신학이 참된 부흥을 가져다 주는 것임을 확인시키고 더욱 청교도 신학과 부흥 신학을 동시에 견.. 성경적 신앙 2018.10.05
[스크랩] 청교도 개혁운동은 언약사상으로 신대륙 이주와 영국 혁명의 결실을 맺었다/ 원종천 청교도 개혁운동은 언약사상으로 신대륙 이주와 영국 혁명의 결실을 맺었다/ 원종천 청교도 개혁운동은 정치, 사회, 경제, 종교의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1620-1630년대 미 신대륙으로의 이주와 1640년대 영국 혁명이라는 거사들로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여러 요소 중 가장 핵.. 성경적 신앙 2018.10.04
[스크랩] 구학파의 신학교인 프린스턴 신학교는 청교도 신학, 부흥, 선교를 추구했다/ 김홍만, `초기 한국 장로교회--` 구학파의 신학교인 프린스턴 신학교는 청교도 신학, 부흥, 선교를 추구했다/ 김홍만 홍치모 교수는 구학파는 부흥에 대해서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신학파는 부흥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가졌던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데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구학파는 부흥을 반대한 것이 아니라 부.. 성경적 신앙 2018.10.03
[스크랩]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은 청교도 신학이었다: 성령의 역사, 주일 성수/ 김홍만 초기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은 청교도 신학이었다: 성령의 역사, 주일 성수/ 김홍만 박형룡 박사는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전통이 청교도 신학임을 지지하였다. 그는 전도에 있어서 성령의 역사를 중요시하고 선교사들의 안식일 준수를 강조했는데 이것이 바로 청교도 신학이라고.. 성경적 신앙 2018.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