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리문답 87문 생명에 이르는 회개란 무엇인가? /토마스 빈센트 해설 제 87 문. 생명에 이르는 회개란 무엇인가? 답. 생명에 이르는 회개는 구원을 얻게 하는 은혜이다. 그것으로 말미암아 죄인이 죄에 대한 참된 의식을 가지고 그리스도 안에서 베푸신 하나님의 자비를 이해하는 가운데 자신의 죄를 슬퍼하고 미워하며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을 향하여 새로.. 소요리문답 2013.06.15
소요리문답 84-85문. 모든 죄가 보응받게 될 하나님의 진노와 저주/ 토마스 빈센트 제 84 문. 모든 죄가 마땅히 받아야 할 형벌은 무엇인가? 답. 모든 죄가 받아야 할 형벌은 이생에서와 오는 세상에서 하나님의 진노와 저주를 받는 일이다. 1. 모든 죄가 보응 받게 될 하나님의 진노와 저주는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것인가? 하나님께서 죄지은 자에게 그의 죄 값으로 지불.. 소요리문답 2013.05.25
소요리문답 83문 율법을 어기는 일은 모두 하나같이 가증스러운가?/ 토마스 빈센트 제 83 문. 율법을 어기는 일은 모두 하나같이 가증스러운가? 답. 어떤 죄는 본질적으로 악하고 또는 여러 가지 무서운 죄로 발전하기에 하나님 보시기에 다른 죄들보다 더 가증스럽다. 1. 죄가 가증스럽다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죄는 하나님을 슬프게 하고 진노케 하기 때문에 가증스럽다... 소요리문답 2013.05.18
소요리문답82문, 인간은 하나님의 계명을 완전하게 지킬 수 있는가/토마스 빈센트 해설 제 82 문. 인간은 하나님의 계명을 완전하게 지킬 수 있는가? 답. 인간은 타락하였기 때문에 이 세상에서는 어느 누구도 하나님의 계명을 완전하게 지킬 수 없다. 오히려 날마다 생각과 말과 행위로 이 계명들을 어긴다. 1. 하나님의 계명을 온전하게 지킨다는 것은 무엇인가? 하나님의 모.. 소요리문답 2013.05.11
소요리문답 제81문 제 십 계명이 금하는 것/ 토마스 빈센트 제 81 문. 제 십 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무엇인가? 답. 제 십 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우리의 이웃이 잘 되는 것을 시기하고 싫어하면서 우리 자신의 처지에 불만을 표하는 일과 이웃의 소유에 관하여 부당한 행동을 하거나 탐욕을 가지는 일이다. 1. 우리 자신의 재산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것.. 소요리문답 2013.04.21
소요리문답 70문-80문 해설/ 토마스 빈센트 제 70 문. 제 칠 계명은 무엇인가? 답. 제 칠 계명은 “간음하지 말지니라” 하는 것이다. 제 71 문. 제 칠 계명에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답 제 칠 계명에서 요구하는 것은, 마음과 말과 행위에 있어서 우리 자신과 이웃의 순결을 보존하는 것이다. 1. 제 칠 계명이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 소요리문답 2013.04.14
소요리문답 65문-69문해설/ 토마스 빈센트 제 65 문 제 오 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무엇인가? 답. 제 오 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각 사람에게 속하는 여러 위치와 관계에 대하여 존경과 의무를 무시하거나 그것에 역행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1. 우리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 오 계명에 역행하여 죄를 범하게 되는가? 1) 거기에 명시된 의무.. 소요리문답 2013.04.14
소요리문답 제 63-64문 제 오 계명과 요구하는 것 제 63 문 제 오 계명은 무엇인가? 답.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너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네게 준 땅에서 네 생명이 길리라”하는 것이다. 제 64 문 제 오 계명에서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답. 윗 사람에게나 아래 사람에게나 동등한 사람에게 대하여 각자 여러 지위와 관계에 따라 .. 소요리문답 2013.01.09
제 62 문 사 계명에 부가된 논증 제 62 문 사 계명에 부가된 논증은 무엇인가? 답. 제 사 계명에 부가된 논증은, 하나님께서 우리 자신으로 하여금 일을 하도록 주 중 육일을 허락신다는 것과 그가 일곱째 날에 대해서는 특별하신 소유권을 주장하신다는 것과 그 자신이 친히 모범을 보이신 일과 안식일을 축복하신 일이다... 소요리문답 2013.01.09
소요리문답 61문 4계명이 금하는 것/ 토마스 빈센트 제 61 문 사 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무엇인가? 답. 제 사 계명에서 금하는 것은, 명령한 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거나 혹 주의하지 아니하며 나태함으로써 그 날을 더럽게 하거나 죄 되는 일을 행하거나 세상의 여러가지 일과 오락에 대하여 불필요한 생각과 말과 행동을 하는 것이다. 1. 제 .. 소요리문답 201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