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칼빈, 기독교 강요, 1권5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우주와 사람의 창조에서 드러남 제 5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우주의 창조와 그 지속적인 운행에서 분명히 드러남 하나님의 영광의 증표가 세상 만물에 분명히 새겨져 있음 복된 삶의 최종적인 목표가 하나님을 아는 데 있으므로, 하나님은 아무도 복을 접하는 데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하시기 위하여 종교의 씨앗을 우.. 칼빈 2014.08.18
존 칼빈, 기독교 강요, 1권 4장, 무지와 악의에 의해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더럽혀진다 제 4장 무지에 의해서나 악의에 의해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짓눌리거나 더럽혀짐 사람의 무지와 미신 하나님께서 모든 사람들에게 종교의 씨앗을 심어 놓으셨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서 알 수 있지만, 그것을 마음으로 기리는 사람을 백 사람 중에 한 사람도 만나기 어렵고, 성숙한 상태.. 칼빈 2014.08.18
존 칼빈, 기독교 강요, 1권3장, 인간은 본능적으로 신에 대한 지각이 있다 제 3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사람의 마음속에 본성적으로 심겨졌음 본성적으로 심겨진 신에 대한 관념 인간의 마음속에 본능적으로 신에 대한 지각이 존재한다는 것을 우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 받아들인다. 저명한 이교도의 말처럼, 하나님이 계시다는 깊은 확신이 없을 만큼 .. 칼빈 2014.08.13
존 칼빈, 기독교 강요, 1권2장, 하나님을 아는 참된 지식은 신뢰와 경외로 이어진다 제 2장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무엇이며, 또한 그를 아는 지식은 어떤 목적을 이루는가?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경건의 관계. 신앙이나 경건이 없는 경우에는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인간이 황폐해 있는 상태에서는, 중보자이신 그리스도께서 개입하셔서 우리를 하나님.. 칼빈 2014.08.13
존 칼빈, 기독교 강요, 1권1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를 아는 지식은 연결되어 있다 제 1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의 본질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이 하나님을 아는 지식으로 향하게 한다. 우리가 지니고 있는 지혜, 즉 참되고 건전한 지혜는 거의 모두가 두 가지 부분으로 되어 있으니, 곧 하나님을 아는 지식과 우리 자.. 칼빈 2014.08.13
하나님의 시험과 사탄의 시험은 서로 전혀 다르다/ 존 칼빈 사탄은 무너뜨리고 정죄를 받고 내어쫓김을 당하게 하기 위해서 시험하지만, 하나님은 그의 자녀들을 연단하심으로써 그들의 신실함을 시험하시며, 시험을 통해서 그들을 강건하게 하시며, 그들의 육체를 죽이고 정결하게 하고자 하신다. 이처럼 절제시키지 않으면 육체는 스스로 교만.. 칼빈 2014.08.07
“영으로 기도하고 마음으로 기도하며”/ 존 칼빈 “그러면 내가 어떻게 할까? 내가 영으로 기도하고 또 마음으로 기도하며 내가 영으로 찬송하고 또 마음으로 찬송하리라”(고전14:15). 여기서 “영”이라는 단어는 방언의 은사를 일컫는 것이다. 어떤 이들이 이 은사를 받고도 그것을 마음과 단절시킨 상태로 사용하여 – 즉 이해하.. 칼빈 2014.07.28
교회 건물이 아니라 신자들 자신이 하나님의 성전이다/ 존 칼빈 하나님께서 그의 말씀으로 신자들에게 공적인 기도를 명하고 계시니, 그런 기도를 행할 공적인 성전이 있어야 할 것이다. 신자들이 각자 자기 집 골방에 들어가면서 하나님의 명령을 지키고 있다는 식으로 거짓된 핑계를 대는 일이 없도록 하나님의 백성들이 함께 모여 교제하며 기도하.. 칼빈 2014.07.28
기도가 주는 여섯 가지 유익/ 존 칼빈 기도는 하나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위한 것이다. 하나님은 사람이 하나님께 드려야 마땅한 존귀를 돌리기를 원하시며, 또한 이러한 하나님의 뜻은 의로운 것이다. 즉, 사람이 바라거나 유용하다고 느끼며, 그래서 얻기를 구하는 온갖 것들이 모두 하나님께로부터 온다는 것을.. 칼빈 2014.07.25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대한 가르침의 필요성/ 존 칼빈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바로 이해해야 한다. 이 문제는 가장 절실한 문제요, 따라서 이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면 양심이 어떤 일을 행하든 머뭇거릴 수밖에 없고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 의심에 빠지고 이리저리 흔들리고 동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이 자유의 문제는 의롭다 하심.. 칼빈 201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