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도 아카데미 651

코티안 알프스의 이탈리아 개혁 교회, 보두아, 피레네 계곡/ 권현익

코티안 알프스의 이탈리아 개혁 교회, 보두아, 피레네 계곡/ 권현익 거룩한 ‘카톨릭 교회’라고 스스로 주장하는 로마 교회는 점차 주교(교황) 한 사람이 좌우하는 ‘로마 카톨릭교회’로 바뀌어 갔다. 마침내 스스로 교회의 황제됨을 선포하였으며, 교황 우월주의, 면벌부의 능력, 연옥과 화체설, 성모, 성인의 중보 기도, 성모 마리아 숭배, 성인들 예배, 성상과 유물 숭배 교리를 만들어 냈다. 그들은 사도의 계승자, 그리스도의 대리자, 보편적 감독, 지상의 하나님이 됨으로 거룩한 하나님의 카톨릭 교회와 무관하게 되었다. 반면 개혁 교회는 참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로 결속시키며 성경을 근거로 한 교리와 신앙적 내용을 유지함으로 소수였으나 유일한 ‘카톨릭 교회’의 상태로 지속적으로 존재하여 왔다. 397년경에는 코티..

청교도 아카데미 독서목록 2022

청교도 아카데미 독서목록(2022) 새언약교회//afamily.ijesus.net 청교도아카데미//cafe.daum.net/psc-k 청교도의길//blog.daum.net/kds2012 저 자 책 명 저자 책 명 1 로이드 존스 청교도신앙그기원과계승자들 교리강좌1,2,3 로마서강해1~14권 에베소서강해1~8권 설교와 설교자, 부흥 36 어거스틴 하나님의 도성 고백록 37 마틴 루터 로마서주석 종교개혁3대논문 2 조나단에드워즈 신앙감정론/전집1 부흥론/전집7 구속사/전집4 영적분별, 브레이너드 38 존 칼빈 기독교강요(상중하) 성경주석 39 존 오웬 내안의 죄죽이기 그리스도의 영광 영의생각,육신의생각 나를 기념하라 3 조엘 비키 청교도의 모든 것 개혁주의청교도영성 청교도만나다,칼빈주의 4 제임스 패커 청교..

저항(protest)하는, ‘남은 자’들의 개혁 교회, 리옹과 피에몽/ 권현익

저항(protest)하는, ‘남은 자’들의 개혁 교회, 리옹과 피에몽/ 권현익 팔레스타인과 소아시아 지역 교회에서 파송한 전도자들이 세운 로마 교회는 곧 사도적 교회의 모습과는 완전히 다르게 변모하고 말았다. 이를 지적하고 항거하는 개혁자들에 대해서는 잔혹하게 핍박하고 폭력을 써서 침묵하도록 강요하였다. 그러나 이런 영적 암흑시대에도 하나님께서는 ‘남은 자’들을 숨겨 놓으심으로써 구원의 복음을 드러내고 증거하게 하셨다. 십자군 전쟁 이전까지 종교개혁 운동은 소규모 지하운동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십자군 전쟁으로 교황들과 왕들이 예루살렘 성지 회복에 집중적인 관심을 갖고 대규모의 군대를 파견함으로써 박해의 도구였던 군사력이 눈에 띄게 약화되었고, 그 시기 동안에 개혁 운동은 대규모 운동의 형태로 발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의 모습/ 권현익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의 모습/ 권현익 ‘고귀한 교훈’에 따르면 발도인들의 시작은 콘스탄티누스 대제 치하 314년에 로마의 주교가 되었던 실베스터의 시대이다. 어떤 이유로 기독교가 공인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토록 치명적인 타락으로 빠져들게 되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로마 교회는 자신들의 교회가 사도적 전통 위에 세워진 ‘정통 카톨릭교회’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복음이 들어와 교회가 세워지는 시간 순서로 보아도 안디옥 교구, 예루살렘 교구, 알렉산드리아 교구, 콘스탄티노플 교구, 로마 교구 가운데서 가장 늦은 때에 복음을 접하게 된 변방의 한 교구에 불과하였다. 그럼에도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로마 제국의 통일성 유지를 위한 필요성 때문에 로마 제국의 중심지에 있었던 로마의 주교..

서유럽 종교개혁의 근원인 발도인들(Waldenses)/ 권현익

서유럽 종교개혁의 근원인 발도인들(Waldenses)/ 권현익 보두아 계곡의 주민들은 사도 시대 또는 사도들의 가르침을 계승한 사람들로부터 복음을 받았다. 사도 바울은 네로 황제 시대에 세계의 중심 도시인 로마에서 2년 동안 머무르며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함으로써 인근 여러 지역에 교회 설립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많은 제자들이 생겨났고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통하여 이탈리아 북부 피에몽에까지 복음을 전파하게 하셨다. 로마서 15장을 따르면 바울은 스페인으로 가서 복음을 전하려는 간절한 열망을 갖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만약 이 소원이 실현되었다면 그리고 그가 피에몽을 거쳐 스페인까지 뚫려 있는 육로를 이용하였다면, 바울은 이미 이 지역 어느 곳에서 설교하였을 가능성도 없지 아니하다. 이렇게 ..

“영과 진리”의 예배는 성경의 진리를 밝히고 깨달아 믿음으로 동의하며 고백하는 예배이다/ 장대선

“영과 진리”의 예배는 성경의 진리를 밝히고 깨달아 믿음으로 동의하며 고백하는 예배이다/ 장대선 신앙에서 유일한 권위이자 최고 최종의 권위는 어떤 사람이나 조직, 기구가 하니라 오직 하나님께 있다. 그 실천은 모든 신앙의 문제를 오직 성경의 권위에 최후 또는 최고로 호소하는 것이다. 교황주의와 같이 사람에게 특별한 권위를 두는 것을 배제하는 것으로, 가시적인 권위를 향하지 않는다. 교황주의에서는 모든 신앙의 실천이 가시적인 것에 대한 신앙 행위로 채워지는 데 반해, 참된 종교개혁의 신앙은 성경의 진리 가운데서 영이신 하나님에 대한 신앙으로 점철된다. 참된 신앙은 영이신 하나님 외에 어떤 사람이나 가시적 대상에 권위를 두지 않고, 오직 유일하신 하나님께만 권위를 두는 것이다. 영이신 하나님을 섬긴다는 것은..

묵상은 성도가 성화의 과정에서 사용할 가장 중요한 실천방법 중 하나다/ 김재성

묵상은 성도가 성화의 과정에서 사용할 가장 중요한 실천방법 중 하나다/ 김재성 에드먼드 캘러미는 “그리스도에 대한 묵상을 하게 되면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으로 불타오르게 되며, 하나님의 진리를 묵상하게 되면 그 진리에 따라서 변하게 되며, 죄에 대해서 묵상하게 되면 죄를 미워하게 만든다”고 했다. 그리스도를 존중하고, 그리스도에게 순종하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그리스도를 마음에 품고서 깊이 묵상해야만 실천에 옮길 수 있다. 청교도는 매일 의무적으로 묵상을 실천하도록 강조했다. 청교도는 은혜의 수단으로 성경 읽기, 설교 읽기, 경건 서적 읽기, 설교 듣기, 기도, 그리스도에 대한 묵상을 강조했다. 은혜의 표지는 회개, 믿음, 겸손이라고 했다. 이 표지들은 하나님에 대한 사랑, 동료 그리스도인들과의 관계, 이웃..

윌리암 커닝함의 생애, 원칙은 희생 위에서 승리한다/ 이안 머레이

윌리암 커닝함의 생애, 원칙은 희생 위에서 승리한다/ 이안 머레이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교회의 머리임을 견지할 수 있는 단 한 가지 길을 열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것은 1843년 5월 18일에 일어났다. 그날, 총회 석상에서 복음주의 진영의 총대들이 일어나 온건주의자들에게 작별을 고하고 그들이 힘들게 연관 지어 온 스코틀랜드의 제도적 교회를 떠나기로 했던 것이다. 보통 60∼70여명 정도가 최종 결정에 따를 것이라고 예측했었다. 그러나 복음주의 진영이 다 일어섰을 때 ‘다수가 일어섰고 문을 향해 걸어 나갔다. 이 광경은 너무나 놀라웠고, 경악 그 자체였으며, 심지어 공포스럽기까지 했다.’ 451명의 목사들이 분리되어, 즉시 스코틀랜드 자유교회(Free Church of Scotland) 교단을 설립하였다..

프랑스 신앙고백 제1조 해설/ 장대선

프랑스 신앙고백 제 1조 해설/ 장대선 “우리는 하나님께서 한 분이시며, 영적이시고, 영원하시며, 보이지 않으시고, 불변하시며, 무한하시고, 우리의 이해를 초월하시며, 말로 다 형용할 수 없으시고, 전능한 단 하나의 단순한 본질을 가지신 분이시며, 가장 지혜로우시고, 가장 선하시고, 가장 정의로우시고, 가장 자비로우신 분이라는 믿음을 고백한다.” 로마 카톨릭의 교황주의에서 볼 때, 교황은 사도를 계승한 자일뿐 아니라 모든 종교 문제의 최고이자 최종 결정권을 지닌 존재이다. 그러므로 당시 개신교 신앙이 로마 카톨릭을 개혁하고자 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은 하나님 말고는 어디에도 최고, 최종의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존재가 없다는 사실을 변증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변증과 관련하여 우리는 프랑스 신앙고백의 “전능..

루카스가 판화로 제시한 '참 교회의 기준/ 권현익

루카스가 판화로 제시한 ‘참 교회’의 기준/ 권현익 비텐베르크 시장인 루카스 크리나흐(1472-1553)는 루터의 종교개혁의 정당성을 흑백 판화 한 점으로 표현하였다. 1545년 루카스는 루터의 종교개혁 운동은 카톨릭(로마 카톨릭과 무관함, 보편 교회, 온전한 공회로서의 하나 된 교회)교회를 분리시키고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께서 세우신 이 교회를 오류로부터 지켜내기 위한 것임을 보여주기 위하여 판화를 통하여 참 교회의 표지를 나타냈다.(첨부 사진 참조) 첫째, 강대상에 선 루터는 성령님의 임재 가운데 성경을 펼쳐 성경을 근거로 청중의 언어로 그리스도에 관하여 설교하는 반면, 거짓 교회를 대표하는 사제는 대조적으로 성경이 없이 그 자신의 말을 하고 있으며 그 뒤를 사탄이 조종하고 있다. 둘째, 하나님의..